본문 바로가기

전승 계보

[전승] 박재희 – 유연성과 예술 해석의 현대 전통 1. 태평무의 재해석자, 박재희박재희는 태평무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유연하고 음악적인 해석을 더해, 현대 전통춤으로서의 태평무를 재정립한 인물이다. 한영숙의 제자이자 실기 계승자로서, 원형의 보존과 해석의 확장을 모두 실현한 전승자로 평가된다.2. 계승과 창조의 균형박재희는 태평무의 원형을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동작의 연결성과 음악성, 감정의 흐름을 더욱 강조하였다. 그녀의 태평무는 한영숙류의 정제된 형식 위에 감성적 리듬 해석과 부드러운 흐름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그녀는 태평무의 장단과 동작이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음악 안에서 어떻게 살아 움직여야 하는지에 대한 관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동작 간의 전이, 시선 처리, 발 디딤의 여백 등에서 박재희만의 리듬감이 드러난다.3. 춤 구성의 특.. 더보기
[전승] 한영숙 - 태평무의 전통성과 여성적 해석 1. 태평무의 전승자, 한영숙한영숙(1920~1989)은 태평무의 두 번째 전승자로, 창시자 한성준의 손녀이자 직계 제자이다. 그녀는 스승의 춤을 계승하면서도 여성무용수로서의 섬세함과 품격을 더해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태평무 형식을 정립하였다.2. 전통과 품격의 계승한영숙은 태평무의 기본 구조와 철학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왕비의 춤이라는 콘셉트를 강화하였다. 그녀가 구성한 태평무는 단독 1인무 형태로 왕비의 위엄, 기품, 절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데 중심을 두었다.남성 중심의 강한 움직임보다는 유려한 팔동작, 곡선 중심의 공간 활용, 내면의 정서를 드러내는 완급 조절이 강조되었다. 그녀의 춤은 '단아하고 격조 있는 미학'으로 평가받는다.3. 춤 구성의 특징한영숙류 태평무는 다음과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더보기
[전승] 태평무의 창시자, 한성준 – 시대와 예술을 넘은 춤꾼 1. 태평무의 창시자, 한성준한성준(1875~1941)은 한국 전통무용의 대표적 예인으로, 태평무의 창시자이자 전통춤의 계승과 재창조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의 격동기를 거치며, 그는 민속과 궁중, 무속의 요소를 통합한 예술성을 지닌 창작춤을 발표하였다.2. 시대적 배경과 창작 의도한성준이 활동하던 시기는 전통문화가 억압되던 일제강점기로, 많은 예술이 변형되거나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그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전통춤의 맥을 지키고자 민속춤과 궁중무용, 무속 의식의 요소를 융합한 태평무를 창안하였다. 태평무는 조선의 부흥과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은 상징적 춤으로, 예술을 통한 민족적 정체성 회복의 의지를 보여준다. 1930년 조선음악무용연구회를 창립한 그는 193.. 더보기
태평무의 전승 계보 * 이 전승 계보는 태평무의 다양한 해석과 변화 과정을 보여줍니다. 더보기